이 글은 링크드인 페이지 를 번역한 글입니다. 1 연구를 사랑해야한다. 연구를 사랑해야한다. 성과를 내기위해, 실험을 더 하기 위해 머리를 감싸며 밤을 새는 날이 많을 수도 있다. 발견하고자 하는 욕구로부터 슬럼프를 벗어날 수 있다. 2 도전적인 상황을 즐겨야 한다. 성공적으로 phD를 마친 사람들에게서는 그들의 연구분야에서 근본적으로 도전적인, 혹은 어려운 문제를 시도한다. 그러한 사람들은 진정한 진실을 향한 강한 욕구가 있어서 열역학 법칙을 어기지 않는 한 가능하다고 믿는다! 또한 실제로 그것이 기술자 혹은 연구자들이 말도 안되는 일을 해내는 원천이다. 빛을 따라 움직이는 생쥐 처럼... 3 너는 네가 PhD 를 원하는 이유를 정확히 알고있다. 필자의 동료중엔 그저 똑똑한 아이들이 대학 이후 대학원에..
젋은 시절의 과학자는 자신이 해 놓은 연구의 결과가 'hot' 하고 유용하게 쓰이게 될 것이라고 믿고 싶어 한다. 그렇지 않다면 과학자라는 고상한 타이틀을 획득하기까지 바친 정열과 시간, 비용을 정당화 할 수 없다고 믿는다. 슬프게도 과학자의 연구 업적이 그대로 인류에게 기여하는 경우는 드물다. 대신 그 과정에서 훈련한 체계적 접근방식, 사고법, 시행착오, 불가능한 스케줄을 감당해 내는 능력, 이런 것들이 나중에 다른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도록 돕는다. 장년의 과학자는 젋은 시절의 자신과 쏙 빼닮은 젊은 과학자들을 보면서 그들이 가진 이상주의에 아름다움과 허무함을 동시에 느낀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상주의를 거친 과학자가 그렇지 않은 과학자보다 이론적으로 견고한 기반을 가질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메트릭 ..
생각을 해보고 stack overflow 에 질문하기.가령, char szBuffer[12] = {"Hello"}; char szData[12] = {"cheese"}; char *pList = szBuffer;라고 선언했을 때, szBuffer = szData; 라고 하게되면 왼쪽 배열이름은 L-Value가 될 수 없으므로 오류가 난다.하지만 왜?? 변수는 이름, 고유 주소, 담고있는 내용 이 세가지로 구성된다.직관적으로 생각했을때, 저렇게 쓰면 담고있는 내용(여기선 그게 곧 szBuffer 의 고유주소가된다.) 을 szData로 바꾼다는 건데,, l-value가 될수 없다는건 배열의 이름이 담고있는 내용과 그 자신의 고유주소를 항상 일치시킨다는 말이다. 왤까?
- Total
- Today
- Yesterday
- 비트 벡터
- 박사과정 #PhD
- vs code
- vscode
- sublime text
- r
- Visual Studio Code에서 R
- pytorch
- Bit vector
- sklearn.model_selection.KFold
- variable
- 사이킷런
- Pytorch .data
- 비쥬얼스튜디오코드
- cross validation
- 파이토치
- Pytorch Variable
- 사이킷런 KFold
- scikit learn
- 교차검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